
듀얼 모니터에서 넷플릭스·웨이브·티빙 시 화면 깜빡임 현상 해결 방법 (2025 최신판)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때, **서브 모니터(보조 모니터)**에서 넷플릭스, 웨이브(Wavve), 티빙(TVING)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행하면 화면이 깜빡거리거나 일시적으로 검게 변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단순한 하드웨어 결함보다는 주사율(Hz) 불일치, 그래픽 드라이버 설정, 케이블 품질, 프리싱크(FreeSync) 기능 등 복합적인 원인에서 비롯됩니다.
아래 단계별로 점검하면 대부분의 깜빡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1️⃣ 모니터 주사율(Hz)과 해상도 맞추기
듀얼 모니터 사용 시 **서로 다른 주사율(예: 메인 144Hz, 서브 60Hz)**을 설정하면
GPU가 각 모니터의 신호를 번갈아 처리하며 **깜빡임(Flickering)**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바탕화면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 두 모니터 각각 선택 후 ‘주사율(Hz)’을 동일하게 맞추기
- 메인: 144Hz → 서브: 60Hz(권장)
- 혹은 둘 다 120Hz 이하로 통일
💡 특히 서브 모니터를 60Hz로 낮추면 안정성이 가장 높습니다.
고주사율 + 영상 재생 환경에서는 간헐적 깜빡임이 자주 발생합니다.
🎮 2️⃣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재설치 (DDU 권장)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이나 손상된 설정값도 원인이 됩니다.
단순 업데이트보다는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로 완전 제거 후 재설치가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 절차
- DDU 공식 사이트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 안전 모드로 부팅 후 기존 그래픽 드라이버 완전 제거
- NVIDIA 또는 AMD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 재설치
💡 그래픽 드라이버가 오래된 버전이거나, 제조사 자동 설치 프로그램(GeForce Experience 등) 오류가 누적된 경우 특히 효과적입니다.
🧩 3️⃣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변경
엔비디아 GPU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 설정 변경으로 깜빡임 빈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 경로:
엔비디아 제어판 → 디스플레이 → 바탕화면 컬러 설정 조정 → 고급 설정
- ‘디스플레이에 보고된 콘텐츠 유형’ → ‘바탕화면 프로그램’으로 변경
- ‘전원 관리 모드’ → ‘최고 성능 선호’
💡 이는 GPU가 영상 재생 시 주파수 변화(Adaptive Sync)로 인한 전력 절감을 막고,
화면 전환 시 밝기 변화나 깜빡임을 줄여줍니다.
🔌 4️⃣ 케이블 및 연결 방식 점검
케이블 품질이나 연결 불량도 매우 흔한 원인입니다.
특히 저가형 HDMI / DP 케이블, 혹은 **변환 어댑터(USB-C → HDMI)**를 사용할 경우 신호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점검 방법
- 메인 모니터와 서브 모니터 케이블을 서로 바꿔 연결해보기
- 정품 HDMI 2.0 이상 / DP 1.4 인증 케이블로 교체
- 케이블 길이는 1.5m 이하로 유지 (길어질수록 신호 약화)
💡 노트북 유저라면 외장 GPU 사용 여부, 도킹 스테이션의 대역폭 제한도 함께 확인하세요.
🖥️ 5️⃣ 모니터 프리싱크(FreeSync) 해제
AMD FreeSync 또는 NVIDIA G-SYN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영상 콘텐츠 재생 시 프레임 변동에 따라 깜빡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모니터 OSD(화면 메뉴) → FreeSync / G-SYNC 기능 OFF
- 혹은 엔비디아 제어판 → G-SYNC 설정 → 비활성화
💡 이 기능은 게임용으로는 유용하지만, 영상 재생 시 호환성 문제가 잦습니다.
🌐 6️⃣ 스트리밍 앱·브라우저 호환성 문제
스트리밍 서비스의 자체 앱(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도
GPU 가속 문제로 인해 특정 환경에서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앱 최신 버전 업데이트
- 앱 대신 크롬·엣지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
- 브라우저 하드웨어 가속 끄기:
- 크롬 → 설정 → 시스템 → ‘가능하면 하드웨어 가속 사용’ 비활성화
💡 일부 DRM 보호 콘텐츠(특히 넷플릭스 4K)는 특정 GPU 설정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재생이 훨씬 안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 7️⃣ 추가 점검: 윈도우 전원 및 디스플레이 옵션
- 제어판 → 전원 옵션 → 고성능 모드로 변경
-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 → HDR 비활성화
(HDR이 켜져 있으면 보조 모니터에서 밝기 변화가 심해짐)
💡 고성능 모드와 HDR 해제만으로도 화면 깜빡임이 개선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 요약 정리
| 원인 | 해결 방법 |
|---|---|
| 주사율 불일치 | 두 모니터 주사율을 60Hz로 통일 |
|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 | DDU로 완전 제거 후 최신 버전 재설치 |
| GPU 전력관리 문제 | 엔비디아 제어판 → 최고 성능 선호 설정 |
| 케이블 품질 저하 | 정품 HDMI/DP 케이블 교체 |
| FreeSync / G-SYNC 문제 | 모니터 설정에서 기능 비활성화 |
| 앱 호환성 오류 | 브라우저 재생 또는 하드웨어 가속 끄기 |
| HDR/전원 설정 오류 | HDR 끄기 + 전원 모드 ‘고성능’으로 변경 |
🧠 결론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 스트리밍 화면이 깜빡이는 현상은
대부분 주사율 차이, 그래픽 드라이버 불안정, 케이블 품질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1️⃣ 서브 모니터 주사율을 60Hz로 통일하고,
2️⃣ 그래픽 드라이버를 재설치(DHU)한 뒤,
3️⃣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최고 성능’ 설정을 적용하면
대부분의 깜빡임 현상은 해결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