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가이드] USB 키보드가 잠깐 작동 후 멈출 때 해결 방법
USB 키보드를 PC에 연결했을 때 잠깐만 입력되고 이후 완전히 멈춰버리는 증상은 단순한 장치 오류가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복합적으로 관여된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미 장치 관리자에서 키보드를 제거해보고, 재부팅, 키보드 교체, 안전 모드 진입 등 기본적인 조치를 모두 시도해보셨다면, 이제 보다 고급 단계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1. 메인보드 USB 전원 관리 설정 확인 (BIOS/UEFI)
USB 포트를 바꿔도 증상이 동일하다면, 메인보드의 USB 설정이나 전원 관리 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BIOS 진입 후 확인할 항목:
- Legacy USB Support →
Enabled
로 설정 - XHCI Hand-off / EHCI Hand-off →
Disabled
또는Enabled
로 바꿔보며 테스트 - BIOS 초기화:
Load Optimized Defaults
또는Load Setup Defaults
선택 후 저장 종료
BIOS에서 USB 설정이 잘못되면 일부 장치가 전원 공급만 되고 데이터 처리가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USB 선택적 절전 기능 해제 (Windows)
윈도우의 전원 절약 기능이 USB 포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설정 경로:
제어판 → 전원 옵션 → 현재 사용 중인 전원 계획 설정 변경 → 고급 전원 관리 설정 →
USB 설정 → USB 선택적 일시 중지 설정 →사용 안 함
이 설정을 꺼두면 USB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3. 필터키·고정키 해제 (접근성 기능)
입력이 간헐적으로 먹히거나 멈춘다면, 윈도우 접근성 기능 중 필터키/고정키 옵션이 켜져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설정 → 접근성 → 키보드 →
- 필터 키 사용 안 함
- 고정 키 사용 안 함
✅ 4. 드라이버 완전 제거 후 시스템 리셋
단순한 드라이버 제거만으로는 복원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 순서를 따르세요:
- 장치 관리자에서
키보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USB 입력 장치
항목 전부 제거
- 컴퓨터 종료 → 전원 케이블 뽑기 → 2~3분 대기 후 재시작
- 재부팅하면 윈도우가 드라이버를 자동 재설치
✅ 5. 다른 운영체제(리눅스 등)로 부팅 테스트
문제가 윈도우 자체 문제인지, 하드웨어 불량인지 판단하기 위한 결정적인 방법입니다.
- USB에 리눅스 Live 부팅용 이미지 설치 후 (예: Ubuntu)
- 키보드를 연결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
정상 작동하면 윈도우나 설정 문제,
동일 증상 발생 시 메인보드 USB 컨트롤러 고장 가능성 ↑
✅ 6. 시스템 복원 또는 초기화
위 방법들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시스템 복원: 문제가 생기기 전 시점으로 되돌리기
- 윈도우 초기화 또는 클린 설치
- 사용자 데이터 백업 후 진행 필요
✅ 7. 메인보드 USB 컨트롤러 불량 의심 시
모든 포트에서 동일 현상이 반복되고, 다른 장치들도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면, 메인보드의 USB 컨트롤러 칩 불량 가능성이 있습니다.
- AS 보증 기간 확인 후 메인보드 교체 또는 수리
- 메인보드가 오래된 경우, 추가 USB 확장 카드 장착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요약
항목 | 점검 및 조치 |
---|---|
BIOS 설정 | Legacy USB/XHCI 설정 확인, BIOS 초기화 |
전원 설정 | USB 선택적 절전 기능 해제 |
접근성 | 필터키·고정키 기능 꺼두기 |
드라이버 | 장치 관리자 제거 + 완전 종료 후 재부팅 |
OS 분리 | 리눅스 부팅으로 하드웨어/윈도우 문제 구분 |
시스템 | 복원 지점 또는 초기화, 클린 설치 고려 |
하드웨어 | 메인보드 USB 칩셋 불량 가능성 점검 |
USB 키보드가 갑자기 작동을 멈추는 증상은 단순한 오류처럼 보여도, 시스템 내부 전원 제어 또는 메인보드 하드웨어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의 고급 점검 방법을 순차적으로 확인해보시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점검을 받는 것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