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3200G + RX 6600 오버워치 프레임 드랍 해결 가이드

AMD 3200G + RX 6600 오버워치 프레임 드랍 해결 가이드

메타 설명: Ryzen 3 3200G와 Radeon RX 6600 조합에서 오버워치 프레임 저하·끊김이 생긴다면 CPU 병목 가능성이 큽니다. 듀얼채널·XMP, 드라이버/BIOS 정비, 프레임 제한, 옵션 튜닝, 업그레이드 후보(5600/5500)까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오버워치(2)에서 간헐적인 스터터링과 프레임 하강이 보인다면, 4코어 4스레드의 AMD 3200GRX 6600의 처리량을 따라가지 못해 CPU 병목이 발생했을 확률이 높습니다. 해상도나 옵션을 낮춰도 CPU가 바쁘면 프레임이 불안정해지므로, 우선 시스템·메모리·드라이버를 바로잡고, 필요 시 CPU 업그레이드를 검토하는 순서가 효율적입니다.

1) 바로 적용: 체감 개선 세팅

  • 프레임 제한: 120Hz 모니터면 117~119FPS로 캡(스파이크 완화).
  • V-Sync OFF, 입력 지연 최소화 옵션(저지연/Reflex 유사) ON.
  • 그래픽 옵션: 그림자·반사·군중·물리 효과 낮음, 렌더 스케일 100% 고정.
  • 백그라운드 종료: 브라우저, 오버레이(Discord/녹화) 비활성화.
  • 전원 관리: Windows 최고 성능, 게임 모드 ON.

2) 드라이버·OS·BIOS 정비

  • GPU 드라이버 클린 설치: DDU(안전 모드) → AMD 최신 수동 설치.
  • 칩셋 드라이버 최신화(메인보드 제조사).
  • Windows 업데이트 전체 적용, BIOS 업데이트 후 기본값 로드.

3) 메모리 구성 점검(핵심)

  • 듀얼채널 16GB(2×8GB) 권장. 12GB(8+4) 비대칭이면 대역폭 손실이 큼.
  • BIOS에서 XMP/DOCP(EXPO) 활성화 → DDR4-3000~3200으로 설정.

4) 병목 진단 방법

  • MSI Afterburner로 모니터링: **GPU 사용률 <80%**인데 프레임 낮고 **특정 코어 90~100%**라면 CPU 병목.
  • 드랍 순간 온도/클럭 급변이면 쿨링(먼지/써멀/흡배기)도 점검.

5) 런타임/게임 팁

  • AMD 소프트웨어: Anti-Lag ON, 과한 필터/샤프닝 혼용은 스터터 유발 가능.
  • HAGS(윈도우) ON/OFF A/B 테스트, 전체화면 최적화 해제도 시도.

6) 가성비 업그레이드 로드맵(AM4 유지)

  • Ryzen 5 5500(6C/12T): 저비용, RX 6600과 궁합 좋음.
  • Ryzen 5 5600(6C/12T): IPC 향상으로 144Hz 방어에 유리.
  • Ryzen 7 5700X(8C/16T): 방송·다중 작업 여유.
    ※ 교체 전 메인보드 BIOS 지원 필수 확인.

결론

현 조합은 CPU 병목이 본질입니다. 듀얼채널·XMP 활성화, 드라이버/BIOS 정비, 프레임 캡·옵션 최적화로 끊김을 먼저 완화하세요. 장기적으로는 Ryzen 5 5500/5600 업그레이드가 프레임 안정화와 평균 FPS를 가장 확실히 끌어올립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