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 – 노동 기본권 실현과 제도 개선 요구
2025년 9월 13일, 서울 중구 시청역 7번 출구 일대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대규모 집회인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약 5,000여 명의 조합원이 참석하여 구호를 외치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제도 개선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 결의대회의 주요 요구 사항
민주노총은 이번 결의대회에서 한국 사회의 노동 현안을 반영한 다음과 같은 요구를 제시했습니다.
- 특수고용직 및 플랫폼 노동자 보호 입법 보완
- 배달, 대리운전, 택배 등 플랫폼 기반 노동자와 특수고용 노동자들이 여전히 법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을 지적
- 산재보험·고용보험 등 사회 안전망 확대 필요성 강조
- 노동정책 협상 제도 구축
- 정부와 기업이 노동 현안을 공식적으로 협의할 수 있는 제도적 틀 마련 촉구
- 회계 공시 및 타임오프 제도 폐지
- 노조 활동 제한을 강화하는 불합리한 제도라며 전면 폐지를 요구
- 국제 연대 메시지 발표
-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국 노동자를 상대로 한 불법 체포 및 경제적 착취 정책을 규탄
- 국제 노동 연대를 통한 대응 필요성 강조
✅ 행사 진행 과정
결의대회에 앞서 조합원들은 세종호텔 고공농성장에서 출발해 시청역까지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이는 장기간 진행된 고공농성과 노동 현실의 열악함을 알리는 상징적인 행진으로 평가되었습니다.
행사는 묵념 → 개회사 → 구호 제창 → 결의문 낭독 → 본대회 진행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노동 기본권 실현”, “진짜 사장과의 교섭 쟁취”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의지를 다졌습니다.
✅ 노동계 현안과 사회적 의미
2025년 한국 노동계는 여전히 다음과 같은 현안을 안고 있습니다.
- 플랫폼 노동 확산에 따른 노동자 권리 보장 문제
- 불안정한 고용 구조와 노동법 사각지대
- 노조 활동 제약 제도의 지속적 논란
이번 결의대회는 단순한 집회가 아니라,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사회적 요구를 분명히 전달한 전국적 규모의 행동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특수고용직·플랫폼 노동자 문제는 향후 국회와 정부의 입법 및 정책 방향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결론
2025년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는 한국 노동운동의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잘 보여주는 행사였습니다. 민주노총은 노동 기본권 보장과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공정한 노동환경 구축을 위한 중요한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 이번 결의대회는 단순한 집회를 넘어, 한국 노동자들이 “노동 존중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함께 목소리를 높인 역사적 순간이자, 노동계와 사회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기록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