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 끊김 현상 원인과 해결 방법 | RTX 4060, 라이젠 5 7500F 게이밍 PC 기준
리그 오브 레전드(LoL, 롤)는 비교적 사양이 낮아도 원활히 구동되는 게임이지만, 고사양 PC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끊김이나 버벅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AMD 라이젠 5 7500F, RTX 4060, 16GB RAM, SSD를 탑재한 최신 게이밍 PC라면 기본적으로 FPS 144~165 이상으로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해야 합니다. 그러나 FPS와 핑이 정상임에도 캐릭터가 순간적으로 멈추거나 버벅이는 현상이 나타난다면, 하드웨어 문제가 아닌 설정, 네트워크, 드라이버,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롤 끊김 현상의 주요 원인
- V-Sync와 프레임 제한 문제
- 수직 동기화(V-Sync)가 켜져 있으면 화면이 부드러워 보이지만 입력 지연과 미세한 끊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FPS 제한이 모니터 주사율(예: 165Hz)과 맞지 않으면 화면 전환이 부드럽지 못하게 느껴집니다.
-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간섭
- 디스코드, GeForce Experience, 윈도우 게임 바, 오버레이 기능은 게임과 충돌해 순간적인 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불안정
- 핑이 정상이라도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순간적인 멈춤이 생깁니다. 특히 Wi-Fi 연결보다는 유선 LAN 연결을 권장합니다.
-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
- 드라이버 버전 불안정, NVIDIA 제어판 최적화 문제, 전원 관리 옵션 오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롤 클라이언트 오류
- 게임 파일 손상이나 설정 꼬임으로 인해 스터터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게임 내 옵션 점검
- V-Sync(수직동기화) 끄기
- 프레임 제한 → 모니터 주사율(165Hz) 이상 또는 무제한 설정
2. NVIDIA 제어판 최적화
- 전원 관리 모드: 최고 성능 선호
- 저지연 모드: OFF 또는 기본값
- G-Sync, V-Sync: 모두 OFF로 테스트
3.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
- 디스코드, ShadowPlay, Xbox 게임 바, 화면 녹화 프로그램 완전 종료
- 작업 관리자를 활용해 불필요한 프로세스 종료
4. 네트워크 안정화
- 가능하다면 유선 LAN 사용
- 공유기 재부팅, 펌웨어 업데이트
-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테스트
5. 클라이언트 및 드라이버 관리
- 롤 클라이언트 → 설정 > 복구 기능 실행
- 문제 지속 시 클라이언트 삭제 후 재설치
- 그래픽 드라이버는 **DDU(드라이버 클리너)**로 완전 제거 후 최신 버전 설치
6. 윈도우 및 전원 옵션
- 윈도우 업데이트 최신 상태 유지
- 제어판 → 전원 옵션 → 최고 성능 모드 선택
결론
RTX 4060과 라이젠 5 7500F 조합에서는 롤이 끊김 없이 돌아가는 게 정상입니다. 그러나 V-Sync, FPS 제한, 오버레이 프로그램, 네트워크, 드라이버, 클라이언트 문제로 인해 버벅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단계별 점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특히, 프레임 제한과 모니터 주사율을 일치시키고, 불필요한 오버레이와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끊김 현상을 잡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