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가 인식은 되지만 포맷/초기화 불가능할 때
볼륨 사라짐, 포맷 실패, 데이터 접근 안 될 때의 복구 절차 총정리
🧩 증상 개요
- SSD가 디스크로는 인식되지만
- 초기화나 포맷이 되지 않음
- 파티션(볼륨) 정보가 보이지 않음
- 맥, 윈도우 모두에서 접근 불가
- 복구 시도해도 RAW 형식 또는 할당되지 않음으로 표시
- OTG 연결 시 장치가 꺼지거나 재부팅되는 현상 발생
이런 경우는 일반적인 논리 오류를 넘어서, 컨트롤러·전원·파티션 테이블·펌웨어 손상 가능성까지 의심할 수 있습니다.
✅ 1단계: 기본 하드웨어 점검
- 케이블·포트 교체 → 다른 USB 포트나 케이블로 연결
- 다른 컴퓨터/운영체제 테스트 (윈도우/맥/리눅스 등)
- OTG 연결 꺼짐 반복 시: 과전류 또는 SSD 기판/컨트롤러 이상 가능성 높음
- Tip: 외장 케이스 대신 SATA to USB 변환 어댑터 직접 연결 추천
✅ 2단계: OS 기본 유틸리티로 초기화 시도
▶ Windows에서
- 디스크 관리(diskmgmt.msc)
- 디스크 번호는 보이는데 할당되지 않음 → 우클릭 → 새 볼륨 생성 시도
- 실패 시
diskpart
로 진입:diskpart list disk select disk # clean create partition primary format fs=exfat quick
- SMART 상태 확인
cmd
→wmic diskdrive get status
▶ macOS에서
- 디스크 유틸리티 실행 → ‘보기 > 모든 장치 보기’ 활성화
- SSD 물리 디스크 선택 → ‘지우기’ 클릭 (포맷: exFAT, APFS 등)
- 오류 시 ‘First Aid’로 복구 시도
- 복구 모드(Command + R) 부팅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시도
✅ 3단계: 복구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추출
- SSD가 물리적으로 인식되기만 한다면, 전문 복구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스캔이 가능합니다.
추천 복구툴:
- Disk Drill
- EaseUS Data Recovery
- RecoverIt
- R-Studio (심화 사용자용)
주의사항:
→ *복구는 반드시 **다른 드라이브(외장 SSD/USB 등)*로 저장하세요.
→ SSD에 덮어쓰기가 발생하면 복구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 4단계: 물리적 결함 가능성 점검
- SMART 상태 ‘Fail’ 또는 ‘Unknown’, 또는 복구툴도 아예 스캔 불가한 경우
- SSD의 컨트롤러, 펌웨어, 낸드 셀 고장 가능성 있음
- 일부 사용자는 롬 리셋, 펌웨어 초기화, 칩오프 방식으로 복구 성공 사례 있음
→ 이 단계는 일반 사용자가 직접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데이터 복구 전문업체 의뢰 권장
✅ 5단계: 최종 정리 및 추천 순서
점검 단계 | 시도 내용 |
---|---|
1단계 | 케이블/포트/변환 젠더 교체 및 타 기기 연결 |
2단계 | Windows/macOS 디스크 유틸리티로 초기화/지우기 시도 |
3단계 | 복구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추출 시도 (데이터가 중요한 경우) |
4단계 | SMART 검사 및 복구 실패 시 물리적 결함 판단 |
5단계 | 복구 전문업체 의뢰 여부 결정 (비용/중요도에 따라) |
💡 실전 팁
-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섣불리 포맷하거나 clean 명령어 사용 금지
- 복구를 먼저 시도하고, 저장한 뒤에 포맷/재사용을 고민하세요
- 복구 소프트웨어는 설치하지 않고 포터블 버전 사용 권장 (덮어쓰기 방지)
🧠 복구 실패 전 마지막 방법은 전문 업체(칩오프/컨트롤러 복구) 상담입니다.
소중한 데이터를 잃지 않으려면 조치 순서를 신중히 따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