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IVER_OVERRAN_STACK_BUFFER 블루스크린 완전 가이드(원인·해결·체크리스트)

DRIVER_OVERRAN_STACK_BUFFER 블루스크린 완전 가이드(원인·해결·체크리스트)

메타 설명: DRIVER_OVERRAN_STACK_BUFFER 블루스크린이 반복된다면 드라이버 결함·RAM 오류·호환성 충돌을 의심하세요. DDU 재설치, DISM/SFC 복구, 메모리 진단, 클린 부팅부터 순서대로 점검해 근본 원인을 잡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증상과 주요 원인

이 중지 코드는 커널 드라이버가 **스택 버퍼를 초과(overrun)**할 때 발생합니다. 하드디스크를 교체해도 재발한다면 원인은 대개 그래픽/칩셋/스토리지/네트워크 드라이버, 메모리(RAM), 메인보드·펌웨어, 보안·가상 장치 드라이버에 있습니다. 유니티(Unity) 실행 중 빈번하면 GPU 드라이버Visual C++/DirectX 런타임 손상 가능성이 큽니다.

1단계: 시스템 무결성 복구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 순서로 실행 후 재부팅: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sfc /scannow

그리고 Windows Update의 선택 업데이트(.NET/드라이버)까지 모두 적용하세요.

2단계: 드라이버 ‘완전’ 재설치

  • 그래픽: 안전 모드에서 DDU로 제거 → 제조사 사이트에서 수동 최신 버전 설치.
  • 칩셋/스토리지/네트워크: 메인보드 제조사 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 별도 설치.
  • 오버레이/튜닝 유틸(GeForce Experience Overlay, Afterburner 등)은 임시 제거.

3단계: 메모리·오버클럭 점검

  • Windows 메모리 진단 또는 MemTest86(최소 4패스).
  • XMP/EXPO·오버클럭 전부 해제 후 재현 테스트.

4단계: 연결·주변기기 점검

SSD/HDD S.M.A.R.T. 확인, 케이블·포트 교체, NVMe 슬롯 변경. 필요 없는 USB·프린터·캡처보드는 모두 분리.

5단계: 런타임 재설치 & 유니티 점검

  • Microsoft Visual C++ 2015–2022, DirectX End-User Runtime, .NET 데스크톱 런타임 재설치.
  • 문제 플러그인/에디터 확장은 최신화 또는 제거 후 A/B 테스트.

6단계: 클린 부팅으로 범인 특정

msconfig에서 Microsoft 외 서비스 사용 안 함, 시작프로그램 모두 해제 → 정상 동작 시 서비스/프로그램을 묶음별로 재활성화하며 원인 추적.

7단계: 덤프·이벤트 분석

커널 메모리 덤프 활성화 → 이벤트 뷰어 확인 → BlueScreenView/WhoCrashed로 문제 드라이버(nvlddmkm.sys, amdkmdag.sys, ndis.sys 등) 식별 후 해당 드라이버만 버전 롤백/업데이트.

8단계: 펌웨어 업데이트

BIOS/UEFI 최신화, Load Optimized Defaults 적용, Intel ME/AMD 칩셋 펌웨어 업데이트.

9단계: 보안 점검

신뢰 가능한 백신으로 정밀 전체 검사. 가상 오디오·가상CD·VPN 등 커널 필터 드라이버는 임시 제거.

10단계: 최후 수단

클린 설치 후 드라이버만 수동 최신으로 구성 → 유니티/그래픽만 설치해 재현. 여전히 발생하면 RAM/메인보드/GPU 하드웨어 불량 가능성이 높으므로 공식 A/S 점검 권장.

한눈에 요약

  • 우선: DISM→SFC, Windows Update
  • 그다음: DDU로 GPU 재설치 + 칩셋/스토리지 최신화
  • 안정성: MemTest86, 오버클럭 OFF
  • 정밀 추적: 클린 부팅, 덤프 분석
  • 그래도 재발: 클린 설치 → A/S 하드웨어 진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