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 – 노동 기본권 실현과 제도 개선 요구

2025년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 – 노동 기본권 실현과 제도 개선 요구

2025년 9월 13일, 서울 중구 시청역 7번 출구 일대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대규모 집회인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약 5,000여 명의 조합원이 참석하여 구호를 외치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제도 개선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 결의대회의 주요 요구 사항

민주노총은 이번 결의대회에서 한국 사회의 노동 현안을 반영한 다음과 같은 요구를 제시했습니다.

  1. 특수고용직 및 플랫폼 노동자 보호 입법 보완
    • 배달, 대리운전, 택배 등 플랫폼 기반 노동자와 특수고용 노동자들이 여전히 법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을 지적
    • 산재보험·고용보험 등 사회 안전망 확대 필요성 강조
  2. 노동정책 협상 제도 구축
    • 정부와 기업이 노동 현안을 공식적으로 협의할 수 있는 제도적 틀 마련 촉구
  3. 회계 공시 및 타임오프 제도 폐지
    • 노조 활동 제한을 강화하는 불합리한 제도라며 전면 폐지를 요구
  4. 국제 연대 메시지 발표
    •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국 노동자를 상대로 한 불법 체포 및 경제적 착취 정책을 규탄
    • 국제 노동 연대를 통한 대응 필요성 강조

✅ 행사 진행 과정

결의대회에 앞서 조합원들은 세종호텔 고공농성장에서 출발해 시청역까지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이는 장기간 진행된 고공농성과 노동 현실의 열악함을 알리는 상징적인 행진으로 평가되었습니다.

행사는 묵념 → 개회사 → 구호 제창 → 결의문 낭독 → 본대회 진행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노동 기본권 실현”, “진짜 사장과의 교섭 쟁취”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의지를 다졌습니다.


✅ 노동계 현안과 사회적 의미

2025년 한국 노동계는 여전히 다음과 같은 현안을 안고 있습니다.

  • 플랫폼 노동 확산에 따른 노동자 권리 보장 문제
  • 불안정한 고용 구조와 노동법 사각지대
  • 노조 활동 제약 제도의 지속적 논란

이번 결의대회는 단순한 집회가 아니라,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한 사회적 요구를 분명히 전달한 전국적 규모의 행동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특수고용직·플랫폼 노동자 문제는 향후 국회와 정부의 입법 및 정책 방향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결론

2025년 9·13 민주노총 결의대회는 한국 노동운동의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잘 보여주는 행사였습니다. 민주노총은 노동 기본권 보장과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공정한 노동환경 구축을 위한 중요한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 이번 결의대회는 단순한 집회를 넘어, 한국 노동자들이 “노동 존중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함께 목소리를 높인 역사적 순간이자, 노동계와 사회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