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듀얼모니터 한쪽만 안 켜질 때, 원인 진단·해결 순서 (빠르게 되는 것부터!)
0. 1분 급점검
- 입력소스 수동 설정: 모니터 OSD에서 실제 연결 포트로 지정(HDMI1/HDMI2/DP 등). 자동감지 오작동 흔함.
- 케이블 끝까지 ‘딸깍’: 양쪽 모두 완전히 체결(헐거움·산화 흔적 있으면 교체).
- 전원→신호 순서: 모니터 전원 먼저 켜고 → 본체 전원.
- 윈도우 단축키:
Win + P
→ 확장(Extend) 선택.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다중 디스플레이 → 표시 감지.
(장치관리자 > 모니터에서 비활성/알 수 없음 표시는 제거 후 재검색)
macOS: 설정 > 디스플레이(Option 누르고) 디스플레이 감지 → 배치에서 모니터 정렬
1. 케이블·포트 교차 테스트 (가장 흔한 원인)
- 케이블 바꿔 꽂기/교차: 모니터 A↔B 케이블/포트 서로 바꿔 증상 추적.
- 다른 규격 시도: DP↔HDMI 변환 중이면 활성 어댑터 필요할 수 있음(특히 DP→HDMI).
길이 2m 이하, 규격 맞는 고품질 케이블 사용(4K·고주사율은 인증 케이블 권장). - 단독 연결 테스트: 각 모니터를 단독으로 연결해 정상 출력 확인(모니터 자체 불량 분리).
2. 입력·호환 이슈 (DP/USB-C 주의)
- DP MST 끄기: 데이지체인 미사용 시 모니터 OSD의 MST/DP 1.2 Daisy Chain 비활성화.
- USB-C 모니터: DP Alt Mode 지원 케이블(E-Mark) 필요. 충전 전용/저속 케이블은 영상 미출력.
- 독(dock)·허브: 전력/대역폭 한계로 한쪽이 꺼졌다 켜지면 직결 테스트, 독 펌웨어 업데이트.
3. 해상도·대역폭 초과 점검
대역폭 한계면 “한쪽 켜지면 다른 한쪽 꺼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둘 다 60Hz/기본 해상도로 낮춰 시험 → 이후 단계적으로 올리기.
- 컬러 포맷을 8bit / RGB 또는 YCbCr 4:2:2로 테스트.
- HDR 끄기(윈도우: 설정 > 디스플레이 > HDR).
4. 드라이버·펌웨어·BIOS
- 그래픽 드라이버 클린 설치: DDU로 제거 → NVIDIA/AMD/Intel 공식 최신 설치(“깨끗한 설치”).
- 컨트롤 패널 확인
- NVIDIA 제어판 > 디스플레이 설정 > 여러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두 모니터 체크.
- AMD Adrenalin/Intel Arc Control에서도 동일 확인.
- BIOS: 초기 출력 PCIe/PEG 우선, 필요 시 iGPU 비활성/활성 선택(혼선 제거 목적).
CSM/레거시 설정이 비표준 혼용이면 UEFI 권장. - 모니터 펌웨어(가능한 모델): 제조사 툴로 업데이트.
5. 잔류전류·EDID 초기화
- 본체·모니터 전원/신호 케이블 모두 분리 → 전원 버튼 10초 길게 → 15~20분 방치 후 재연결.
(EDID/핸드셰이크 꼬임 해소에 효과적)
6. 그래도 안 되면 의심할 점
- 모니터 불량: 단독 연결에서도 무반응, 다른 PC에서도 미인식.
- 그래픽카드 포트 불량: 포트 A만 반복적 미출력, 다른 포트·다른 카드에선 정상.
- 어댑터/케이블 결함: 변환기나 길이 긴 케이블에서만 재현.
→ 정상 조합 표를 만들어 무엇이 고장인지 좁혀가세요(모니터/포트/케이블 조합별 OK/NG 기록).
체크리스트 요약
- 입력소스 수동 지정 → 2) 케이블/포트 교차 → 3) 60Hz·HDR 끄기 →
- 드라이버 클린 설치 → 5) DP MST/USB-C 요건 확인 → 6) 잔류전류 방전 →
- 단독 연결·타 PC 테스트 → 8) 하드웨어 불량 결론 시 수리/교체
TIP: 메인보드 영상포트(내장그래픽)과 외장그래픽 혼용 금지(문제 분리 전까지는 한쪽만 사용). 다중 출력이 필요하면 설정을 명확히 하거나 한 제조사 출력으로 통일하세요.
이 순서대로 진행하면 대부분 연결·설정·케이블 문제가 원인으로 확인됩니다. 모든 조합에서 동일 증상이면 모니터/그래픽카드/어댑터 하드웨어 점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