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IP 주소 변경과 네트워크 프린터 연결 문제 원인 및 해결법

갑작스러운 IP 주소 변경과 네트워크 프린터 연결 문제 원인 및 해결법

IP 주소가 바뀌면 네트워크 연결에 혼선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프린터 같이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 간 통신이 필요한 환경에서는 IP 주소 불일치가 큰 장애 요소가 됩니다. 공유기나 모뎀 자체를 건드리지 않았음에도 IP 주소가 바뀌는 이유와 프린터 연결 장애 해결법을 알아봅니다.


1. IP 주소 변경 원인 분석

① 공유기 내부망과 외부망 IP 혼돈

  • 172.30.1.xxx는 사설 IP 대역으로, 사내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 내 컴퓨터에 할당되는 주소임
  • 121.136.86.xxx는 일반적으로 공인 IP 대역에 가깝거나 ISP에서 제공하는 외부망 IP일 가능성이 있음

② DHCP 서버 설정 문제

  • 컴퓨터가 공유기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예: 별도 VPN, 다중 랜 포트, 모바일 핫스팟)에 연결됐을 때 자동으로 IP 할당 범위가 바뀔 수 있음
  • 컴퓨터 네트워크 어댑터가 예기치 않게 ‘고정 IP’에서 ‘자동(동적) IP’ 변경되거나 반대로 변경되었을 가능성

③ 네트워크 분리 혹은 격리 모드 발생

  • 동일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있던 기기가 갑자기 다른 서브넷이나 VLAN 환경으로 이동돼 IP 체계가 달라질 수 있음
  • 공유기 내 게스트 네트워크 연결, 회사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분리 정책 등에 의한 영향 가능성

④ VPN 또는 프록시 서버 연결

  • VPN 사용 중이라면 전혀 다른 IP 대역이 할당돼 터널링되어 인터넷 접속 가능하지만 로컬 네트워크(프린터 등)는 인식하지 못함

⑤ 네트워크 어댑터 오류 또는 바이러스/악성코드

  • OS 네트워크 쪽 오류, 랜카드 드라이버 문제, 혹은 악성코드에 의한 네트워크 설정 변조 가능성

2. 프린터 연결 장애 원인

  • 프린터는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IP 대역 및 서브넷)에 있어야 인식 및 출력 가능
  • IP 주소가 ‘외부 IP’, 다른 서브넷으로 바뀌면 프린터가 보이지 않거나 접속 실패
  • 방화벽, 공유기 포트 차단도 일부 영향을 끼침

3. 문제 해결 방법

① 현재 연결 네트워크 확인 및 재연결

  •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에서 현재 IP, 연결 상태,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SSID) 확인
  • 공유기 네트워크와 동일한지 반드시 점검하고, 다른 네트워크 연결 시 공유기 Wi-Fi로 재접속

② IP 자동할당(DHCP) 설정 재확인

  •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에서 IPv4 자동 할당(DHCP)으로 설정
  • 수동 할당 IP가 불안정하면 고정 IP 설정 해제

③ 공유기 재부팅 및 DHCP 서버 상태 점검

  • 공유기 전원 껐다 켜기, DHCP 범위 및 예약 IP 설정 확인
  • 기기별 IP 충돌 해결

④ VPN/프록시 연결 여부 확인

  • VPN 연결 중인지 확인 후, 프린터 연결 시 VPN 끄기
  • 프록시 설정 해제

⑤ 프린터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및 재연결

  • 프린터 IP 주소 재설정 (수동고정 IP 추천)
  • 공유기 DHCP 예약 기능 활용해 IP 고정화
  • 프린터 드라이버 재설치 및 공유기와의 연결 테스트

⑥ 네트워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바이러스 검사

  • 네트워크 어댑터 최신 드라이버 설치
  • 악성코드, 바이러스 검사로 이상 유무 점검

결론

아이피 주소가 172.30.1.xxx에서 121.136.86.xxx로 완전히 바뀌고 공유기 조작 없이 인터넷은 되지만 특정 자리에서만 프린터 연결이 안 될 때는, 네트워크 분리, DHCP 설정 오류, VPN 연결 등으로 IP 대역이 달라진 것이 주원인입니다.
네트워크 연결 및 IP 할당 방식을 꼼꼼히 확인하고, 공유기와 프린터 설정을 재조정하며, 필요 시 VPN과 같은 네트워크 중계 장치도 체크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핵심입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버 및 악성코드 검사 등 추가 점검을 병행하면 보다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